[TIL] 99클럽 코테 스터디 1일차 TIL - 이진탐색 : 백준 1072 게임 문제 풀이 with python
·
TIL
Today's keyword : 이진탐색 이진탐색이란?   정렬된 배열에서 특정 값을 찾기 위해 반으로 나누면서 탐색해 나가는 알고리즘입니다. 이 방법은 배열이 정렬되어 있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이진탐색 작동원리 1. 초기 설정 : 배열의 시작과 끝 인덱스를 설정 2. 중간 인덱스 계산 : 시작 인덱스와 중간 인덱스 계산 3. 비교 중간 인덱스의 값이 찾고자 하는 값과 같으면 탐색 종료 중간 인덱스의 값이 찾고자 하는 값보다 크면, 끝 인덱스를 중간 인덱스 - 1로 설정하여 왼쪽 절반을 탐색중간 인덱스의 값이 찾고자 하는 값보다 작으면, 시작 인덱스를 중간 인덱스 + 1로 설정하여 오른쪽 절반을 탐색4. 반복 : 절반으로 나누면서 시작 인덱스가 끝 인덱스 초과할 때까지 반복 문제설명 형택이가 게임을 몇 ..
시계열에서 변화된 지점 찾기 : Change Point Detection (CPD) 기법
·
데이터분석
이번에 소개해드릴 내용은 시계열이나 신호 데이터에서 변화를 찾는 기법인 Change point detection입니다.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공정 과정에서 유의미한 피처를 도출하기 위한 하나의 작업으로 Segmentation을 진행했고, Segmentation을 하기 위해 Change point detection 기법을 활용했습니다. 최종 목표는 유의미한 피처 도출이었고, 데이터의 변화가 발생한 구간을 나눠 보다 유의미한 피처를 도출하고자 하였습니다. 해당 글에서는 Change point detection 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고리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단한 실습과 함께 설명하고자 합니다. 1. CPD 개요  CPD(Change Point Detection)이란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
[LLM] GCP 이용해 LLM 환경 구축하기
·
MLOps
ChatGPT의 등장으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이 주목받으면서 LLM 관련 공모전과 사이드 프로젝트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LLM에 대한 관심은 DACON 기준 참여인원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정형데이터를 이용한 회귀와 분류모델 관련 공모전에도 보통 1,000~1,500여 명 정도 참가하는데, 2024년 진행했던 '도배 하자 질의 응답 처리 : 한솔데코 시즌2 AI 경진대회'에는 1,454명이 참여하였고, '재정정보 AI 검색 알고리즘 경진대회'도 1,060명이 참여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뜨겁다는 것을 보여준다.  올해 LLM에 관심이 생겨 위에 언급된 두 공모전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그때마다 LLM을 Fine-tun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