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1) 썸네일형 리스트형 [Causal Analysis] PC 알고리즘 1. 인과발견의 개념과 필요성 인과발견이란 데이터에서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과정으로, 이 관계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합니다. 인과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특정 변수가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목표 변수의 값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제조 공정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때 원인이 되는 변수를 명확하게 특정해야 해당 변수를 모니터링하며 이상을 감지하고, 필요할 경우 해당 값을 조정하여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할 때 상관관계를 이용하지였지만, 단순한 상관성만 확인해서는 인과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X가 Y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을 때는 3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1) X가 Y의 원인이다. (2.. 고민을 해결해가는 여정에 대한 기록 (부제 : 데싸 경력 4년차의 대학원 고민) 고민의 시작입사 때부터 대학원 진학을 생각했던 것은 아니다. 대학원을 가지 않고도 비전공자지만 취업을 할 수 있었고, 대학원을 나온 다른 동료들과 업무 능력을 비교했을 때 부족하다고 느끼지도 않았다. 그렇지만 어렴풋이 '대학원을 나오면 더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은 갖고 있었다. 그 이유는 채용공고를 보면 자격조건에 석사를 우대하거나 지원자격 자체가 석사 이상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석사라는 타이틀을 갖고 싶었고, 비전공자로서 이 직무를 잘할 수 있다고 증명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석사라는 타이틀의 효과, 학사 출신의 한계를 느끼진 않았던 터라 대학원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다 이직한 회사에 오니 대학원을 나온 사람들이 다수인 것을 알게 되었다. 팀원 10명 중 7명이 통.. 효과적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초) : 프롬프트 구성요소와 효과적인 프롬프트 구조 이번 글은 프롬프트를 작성할 때 기본적으로 이해하면 좋을 기초 내용으로 프롬프트의 구성요소, 프롬프트의 구조에 대해서 예제와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은 AI 모델 (LLM, Large Language Model)이 내가 원하는 답변을 출력할 수 있도록 프롬프트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여기서 프롬프트(Prompt)는 AI에게 주어지는 입력 문장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ChatGPT에게 물어볼 때 입력하는 문장과 질문들이라고 보면 됩니다. 단순하게 내가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질문만 입력할 수 있지만, '개조식으로 말해줘', '영어로 말해줘'와 같이 특정 지시도 함께 전달할 수 있는데요... LLM 기법(Fine-tuning, RAG) 설명 및 적용 가이드 검색 대신 챗봇에 먼저 물어보는 게 일상이 되어 버린 요즘, 이제 LLM(Large Language Model)은 혁신 기술에서 하나의 트렌드가 된 것 같습니다. 특정 산업 분야 가리지 않고 LLM이 사용되고 있다 보니, 모든 기업에서 LLM을 도입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길 원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LLM을 도입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한 분들이 있을 것 같아 한 번 정리해 봤습니다. 이 글은 LLM을 만드는 대표적인 방법 두 가지, 파인튜닝(fine tuning)과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기법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어 LLM에 대해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한 사람들, LLM 도입을 검토 중인 사람들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LLM 모.. 코드트리 X 글또 블로그 챌린지 참여 후기 : 코테 준비 끝판왕 플랫폼 '코드트리' 코드트리 X 글또 블로그 챌린지를 통해 작성하는 한 달 코드트리 후기 코테 준비를 하고 있는 개발자라면 백준, 프로그래머스, 리트코드 등 다양한 코딩테스트 문제 플랫폼을 접하고 있을텐데요. 그 중에서 '코드트리'라는 코딩테스트 대비 학습 플랫폼을 접해 보고 그 후기를 남겨봤습니다. 이 포스팅은 코드트리 x 글또 블로그 챌린지 2기를 통해 코드트리 체험권을 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코드트리의 장점(1) 체계적인 커리큘럼처음 코드트리를 접하고 제일 먼저 감동받았던 포인트는 나의 수준에 맞춰 학습 커리큘럼이 잘 짜여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려고 할 때 제일 막막했던 부분 중 하나가 어디서부터 뭘 해야 할 지 모른다는 것인데 코드트리는 그런 고민을 해결해줄 수 있도록 학습 수준 별로 학습해야 할.. [회고] 25년 1월 회고 : 2025년 벌써 한 달이 지나갔다... 아닛, 벌써 한 달이 지나갔다고?새해에 대한 부푼 설렘을 갖고 목표를 작성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 달이 지나갔습니다. 하고 싶은 게 많고 해야 할 게 많다고 생각해서 그런지 항상 시간에 쫓기며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네요. 하루하루를 돌아보면 그날의 감정과 상황에 충실했다 생각하는데 한 달을 되돌아보면 항상 아쉬움이 남습니다. 다음 달에는 덜 아쉬움이 남도록 월별 회고를 진행해보려고 합니다.KPT 기법을 이용한 1월 회고회고를 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존재하지만 저에게 잘 맞는 회고 방법은 KPT 회고법입니다. 질문으로 구성된 회고가 아니라서 질문에 한정되지 않고 좀 더 자유롭게 한 달을 돌아볼 수 있어 좋아합니다. KPT는 Keep + Problem + Try의 약자로,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책 리뷰]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한 종합 안내서 '더 나은 프로그래머 되는 법' 한빛미디어 후원으로 '더 나은 프로그래머 되는 법' 책을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책에 대한 소개는 한빛미디어 책 소개 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책의 구성책을 소개하는 헤드라인을 보면 '더 나은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한 자기 계발서, 성장을 위한 레벨업 가이드 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단순한 기술서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나은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을까?'에 대한 선배 개발자들의 나름의 답, 노하우를 담은 책입니다. 책은 크게 5가지 파트로 나뉘며, 프로그래머로서 괜찮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어떻게 작성하고 연습하면 좋을지를 다룬 기술 관련 파트(01.you.write(code); & 02. 연습을 통해 완벽해진다)와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갖춰야 할 태도에 대해 다룬 파트(03. 개인적인 일로 받.. 파이썬 프로젝트를 위한 가상환경 설정 1 : conda, venv 가상환경의 필요성 가상환경이란 Python 프로젝트 별로 독립적인 실행 환경을 만드는 도구입니다. 가상환경을 통해 서로 다른 파이썬 버전과 패키지 조합을 가진 프로젝트를 여러 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 데이터 분석을 배우게 되면 설치된 파이썬 버전에 맞춰 패키지를 설치하게 되는데요. 이후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특정 라이브러리에 따라 파이썬 버전도 다르게 설치해야 하고, 라이브러리와 종속된 패키지 버전을 따로 관리해줘야 합니다. 예시 그림과 같이 프로젝트 A에서 필요한 pandas 라이브러리를 1.3 버전으로 설치했고, 그에 따라 numpy 라이브러리가 1.20.3 버전으로 설치되었을 때, 이후 프로젝트 B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의 종속된 numpy 버전이 기존 설치된 Nu.. 흘러가는대로 살았던 2024년 '나' 인터뷰 (2024년 회고&2025년 새해 목표 다짐🧄 feat. 만다라트) 안녕. '나'야! 2024년은 잘 보냈니? 2024년을 돌아볼 수 있게 질문을 준비해 봤어. 질문에 대답하면서 2024년의 나를 칭찬하기도 꾸짖기도 하며 나를 돌아보고 2025년을 어떻게 꾸리면 좋을지 고민해 보자. 2024 결산 질문리스트1. 올해 처음으로 도전해본 일이 있다면 뭐야?경기도 출퇴근. 경기도에서 자취하게 되면서 경기도 출퇴근이 얼마나 힘든 지 몸으로 직접 겪었지. 30분 걸리는 판교를 폭설인 날 3시간 걸려서 출근했던 건 평생 잊혀지지 않을 거야. 하지만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서 시간 여유가 생기니 책도 읽게 되고, 약속시간을 지키려고 좀 더 부지런하게 움직이게 되어 오히려 좋게 생각해. 2. 올해 나만의 작은 전통이나 루틴이 생겼다면 뭐야?일기쓰기. 작년부터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부분인.. [최적화 알고리즘] 유전알고리즘 기본 개념 및 배낭문제 실습 (with python) 목차1. 개념 및 용어2. 알고리즘 동작원리3. 배낭문제 Python 구현 코드회사에서 최적화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유전 알고리즘을 접하게 되어 유전 알고리즘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최적화를 진행하는 것인지 배낭문제를 예시로 들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념 및 용어 유전 알고리즘이란 생물체가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하는 것처럼 가장 적합한 개체들이 선택되며 최적의 해를 찾는 알고리즘을 말합니다.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에 영감을 얻어 존 홀랜드에 의해 1975년 개발되었습니다. 생물의 진화를 모방하였기 때문에 유전자와 염색체와 같은 개념과 실제 진화 과정인 교배 연산, 돌연변이의 개념을 그대로 차용하여 알고리즘 작동 원리에 녹아 있습니다.* 자연선택 이론 : 생존에 적합한 형질(키..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